반응형
1. 원격 데스크톱이란?
원격 데스크톱은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마치 그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것처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특히 윈도우즈 프로(Pro) 이상 버전에서 기본 제공되며, Windows Home 버전의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예: TeamViewer, AnyDesk, Chrome Remote access 등)을 사용하면 원격접속이 가능합니다.
2. 원격 데스크톱 설정 방법
A. 원격 접속 허용하기
- 설정 열기:
윈도우즈 검색창에 "원격 데스크톱 설정"을 입력하고 해당 항목을 클릭합니다.
혹은 설정 -> 시스템 -> 원격 데스크톱 -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원격 데스크톱 사용" 옵션을 켜기로 전환합니다. - 사용자 선택:
기본 계정 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추가하려면 "사용자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해당 계정을 추가합니다.
3. 원격 접속하는 방법
A.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Windows)
- 클라이언트 실행:
다른 윈도우즈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을 검색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혹은 Ctrl+win -> mstsc - 접속 정보 입력:
접속할 컴퓨터의 IP 주소 또는 컴퓨터 이름을 입력한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인증:
접속할 컴퓨터의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원격으로 접속됩니다.
ID와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싶다면, 자격증명 "편집"을 누르고 다시 입력합니다.
디스플레이:
모니터 2개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면 "모든 모니터를 원격 세션에 사용"을 체크합니다.
오디오 설정을 변경하고 싶다면 "로컬 리소스" 탭으로 이동하여 "원격 오디오 설정"에서 변경합니다.


B. 모바일 기기에서 원격 접속하기
- 앱 설치: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 설정 추가:
앱을 실행한 후, 새 연결을 추가하고 접속할 PC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 연결:
앱에서 접속하면 모바일에서도 PC를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원격 접속 동작 흐름 다이어그램
아래는 원격 접속의 기본 흐름을 나타낸 간단한 구성도입니다.
[원격 사용자 PC]
│
│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실행
│ 접속 정보 입력 (IP/컴퓨터 이름)
▼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로컬 LAN)]
│
▼
[원격 접속 대상 PC]
│
│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활성화
▼
[윈도우즈 OS 데스크톱 화면]
원격 사용자 PC에서 시작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PC에 접속하고, 결국 윈도우즈 데스크톱 화면을 제어하는 전체 과정을 보여줍니다.
Q. 접속이 안된다면 방화벽 및 네트워크 설정 확인하기
검색 ->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 -> 방화벽에서 앱 허용 -> 원격 데스크톱 체크하여 허용

반응형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CMD 명령어 - 시스템 정보 확인 (0) | 2025.02.22 |
---|---|
Windows 11에서 새 하드디스크 인식 문제 해결! 디스크 관리 도구로 쉽게 설정하는 법 (0) | 2024.11.05 |
Windows에서 ZIP 파일로 손쉽게 압축하는 방법! (3) | 2024.11.05 |
윈도우10 자동 재부팅 방지 (0) | 2021.10.19 |
윈도우 10 에서 tar 파일 압축/해제 하기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