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0

네이버 애드포스트(AdPost) vs 구글 애드센스(AdSense)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요즘 광고를 많이 볼 수가 있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광고주나 컨텐즈 주체에게 이문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형식이다. 컨텐츠에 광고를 달 수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구글의 애드센스(Adsense)가 있다.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사진 광고들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이 구글 애드센스 일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다음 애드핏, 구글 애드 센스 등등 많은 광고 컨텐츠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의 대표 포탈사이트는 네이버이다. 네이버에서 노출이 잘 되도록 블로그 활동을 하려면, 네이버 블로그를 이용해야 네이버에 노출이 잘된다. 하지만 네이버 블로그에 광고는 네이버 애드포스트 밖에 넣지를 못한다. 나는 네이버 광고보다 구글 광고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5) Samba/SMB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4) FTP 설치HDD 마운트 및 절전 설정로 이동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5) Samba/SMB 우분투의 폴더를 윈도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 해주는 프로그램 아래 그림처럼 설치가 되면 우분투에서 공유된 폴더를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다. SAMBA 설치 SMB 프로그램으로 SAMBA를 설치 하도록 하겠다. 먼저 우분투에 SSH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 설치 apt-get install samba - 사용자 추가 사용자를 추가하지 않으면 Samba를 사용할 수가 없다. 사용자를 추가해서 사용하도록 하자. 추가 가능한 사용자는 우분투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만 등록 할 수 있다. smbpasswd -a odroid New SMB password :..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4) FTP 설치

이전글: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3) HDD 마운트 및 절전 설정 로 이동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4) FTP 설치HDD 마운트 및 절전 설정 파일 전송으로 동영상/음악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FTP를 설치 해보도록 하겠다. VSFTP 설치 FTP 서버 프로그램은 우분투에서 많이 사용하는 VSFTP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 우분투에서 설치하기 apt-get install vsftpd - 설정 vi /etc/vsftpd.conf -------내용-------- anonymous_enable=NO local_enable=YES write_enable=YES -> 파일 쓰기(업로드) 허용 chroot_local_user=YES -> home 디렉토리보다 상위로 이동 금지 chro..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3) HDD 마운트 및 절전 설정

이전글: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2) SSH 연결 로 이동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3) HDD 마운트 및 절전 설정 ODROID 에 추가로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은 USB를 이용한 외장하드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다. 윈도우의 경우에는 USB를 연결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으로 자동으로 이동식 디스크로 잡히기 된다. 그렇지만 리눅스에서 사용을 하려면 이동식 디스크를 어디에서 사용할것인지를 지정하고 입력을 해줘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과정을 마운트(mount)라고 한다. 마운트를 하기 위한 과정 : HDD확인 -> Format -> Mount -> Mount 확인 -> 자동 Mount 설정 위의 과정으로 마운트 과정이 진행된다. 먼저 root 권한을 얻는다. su -> passwd ..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2) SSH 연결

이전글 :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1) ODROID에 우분투 설치하기 로 이동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2) SSH 연결 ODROID 에 우분투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ssh가 설치 되어 있다. openssh 가 설치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혹여나 ssh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우분투를 사용한다면 openssh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겠다. (설치 방법은 검색해서 설치하도록하자 ^^;) SSH(secure shell) 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명령을 내려서 NAS에 프로그램을 설치 할수 있다. 물론 NAS에서 직접 명령을 내려도 된다. 하지만 NAS는 대부분 모니터나 입력 장치를 초기 설치 후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격으로 SSH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설치 제어한다. - SSH(secur..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1) ODROID에 우분투 설치하기

- 오드로이드 NAS 설치를 위해서 Odroid-C1+ 를 구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 우분투를 설치하도록 하겠다. 오드로이드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조하시면 되겠다. ODROID C1+ VS RaspberryPi2 스펙 비교 - 싱글보드 컴퓨터 오드로이드(Odroid) C1+ 구매 및 개봉기 - 설치 파일 다운로드 오드로이드에 OS를 설치하려면 MicroSD 나 eMMC에 임베디드용 이미지를 설치해야 한다. ODROID 용 이미지 설치 프로그램 다운 ODROID OS Image flashing tool 실행시키면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1) -> 설치 이미지 선택 -> (2) -> 설치 드라이브 선택 -> (3) -> 이미지 쓰기 -> (4) -> 검증하기 ..4번은 안해도 무관하다. 우분투..

우분투 자작 NAS 설치하기 - 목차

이전에 NAS4FREE를 이용하여 자작 NAS를 구축해 보았다. 그렇지만 이런 저런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OMV(Open Media Vault) 도 설치해 보았지만, 마찬가지로 불판한 점이 있었다. NAS4FREE 나 OMV 같은 NAS 전용 OS들은 설치가 상대적으로 편하다. Install만 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다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 설치가 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불편한 점이 있다. 내가 설치해서 사용하고 싶은 프로그램들을 쓰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Nas4Free 는 DLNA 호환과 Owncloud에서 MySQL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이 마음에 안들었고, OMV는 OwnCloud 버전과 DLNA 버전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최신버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었는데, ..

06. 자작 NAS 구축하기 설정 (OwnCloud 설치)

6. Nas4Free 에 OwnCloud 설치하기 ​ - OwnCloud 다운로드 ​owncloud 는 개인 웹하드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쉽게 개인이 운영하는 클라우드서비스이다.(N드라이브, 드롭박스) https://owncloud.org/install/#instructions-server 위의 링크에서 최신 버전의 owncloud를 다운로드 한다. 현재 기준(2016.1.11) 8.2.2 버전이 최신버전이다. 1. 다운로드한 파일을 NAS4FREE FTP를 이용하여 설치를 원하는 폴더에 옮겨 놓는다. 나는 /mnt/www/ 에 파일을 복사하였다. ​ 2. nas4free 에 ssh 로 접속하여 설치 cd /mnt/www/ -> tar -xjf owncloud-8.2.2.tar.bz2 압축해제 mkdir..

05. 자작 NAS 구축하기 설정 (DLNA / torrent )

5. Nas4Free 설정 ​ - DLNA ​ Nas4Free 10.2.x 버전은 2가지 종류의 DLNA 를 제공한다. Fuppes 와 MiniDLNA 2가지를 제공한다. Fuppes는 2013년 까지 업데이트가 되고 안되는 것 같다. 하지만 SMI 자막이 재생 되지 않는다. SRT자막만 되는것 같다. MiniDLNA는 많이 사용되는 DLNA 프로그램이다. 1.4버전 부터 SMI 자막을 지원하는것 같은데....이상하게도 내 PC에서는 파일을 인식을 못한다....ㅠㅠ 기능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면 되겠다.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UPnP_AV_media_servers (DLNA 비교) Fuppes MiniDLNA ​ - utorrent 서비스 -> B..

05. 자작 NAS 구축하기 설정 (FTP / SSH)

5. Nas4Free 설정 ​ - FTP ​ 내/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공유 방법이다. 접속을 위해 파일질라 알FTP 같은 접속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부분은 FTP 접속을 따로 확인해보면 되겠다. 외부에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 본다. ​ - SSH ​ SSH는 유닉스 계열의 OS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원격으로 접속하여 OS에 명령을 내리는 것 기능이다. (대충 생각나는 거을 적었다. 자세히 알고 싶다면 검색을 해서 찾아보도록 하자) 연결 프로그램은 Putty, telnet 등등이 있다. ​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이 잘되는지 확인해 본다.

반응형